728x90
반응형
SMALL
긴 추석 연휴도 끝나고 어느새 곳곳이 가을색으로 물들어 갑니다. 10월 지금, 서울 시내에서 만나볼 수 있는 전시회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? 국립현대미술관, 리움미술관, DDP 등 대형 미술관부터 성수·종로·강남 감성 갤러리까지 가을을 느낄 수 있는 문화 힐링 공간에서 진행 중인 다양한 전시회에 대해 알아봅니다.
1. 종로·시청·덕수궁 라인 — 클래식한 예술의 중심
전시명 | 장소 | 기간 | 추천 이유 |
김창열 외 다수 |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| ~12.21 |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김창열 예술세계를 조명하며 20세기 중반 한국 사회의 급변한 근대화 과정을 되돌아 보는 계기 |
향수(鄕愁), 고향을 그리다 |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| ~11.09 | 고향의 감성과 회화 중심의 전통미를 느낄 수 있는 기획전. 덕수궁 돌담길 산책과 찰떡 궁합. |
형상 회로: 동아미술제와 그 시대 | 일민미술관 (광화문) | ~10.26 | 1980~90년대 한국 미술사 주요 흐름을 정리한 아카이브형 전시. 미술 초심자에게도 쉽고 흥미로운 구성. |
김호준: 위험 속의 시 | 갤러리내일 (인사동) | 10.02~10.14 | 시적 감수성과 위협적 세계를 결합한 중견 작가의 실험적 회화. 인사동 한복판에서의 예술 산책 코스. |
이승민: 몽글몽글, 그 사이 | 갤러리 DOS | ~10.20 | 감각적 색면·감성 회화 |

2. 용산·이태원 라인 — 세계적 작가와 현대 감성의 교차점
전시명 | 장소 | 기간 | 추천 이유 |
이불: 1998년 이후 | 리움미술관 | ~2026.01.04 | 세계무대에서 인정받는 한국 현대미술 거장의 대표작. 조각·영상·설치의 종합예술. |
장 미셸 바스키아展 | DDP 뮤지엄 | ~2026.01.31 | 뉴욕 거리에서 세계 미술로. 바스키아의 상징적 기호를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. |
3. 강남·성수 라인 — 트렌디한 갤러리와 젊은 감성의 향연
전시명 | 장소 | 기간 | 특징 |
FERNANDO LAPOSSE: THE FIRST GOLD IS GREEN | The Page Gallery | ~11.2 | 천연 재료에 풍부한 서사를 담아내는 작가 페르난도 라포세는 혹독한 겨울을 견뎌낸 첫 새싹의 소중함과 연약함을 담은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, <어떤 황금도 영원치 못하리라 Nothing Gold Can Stay>의 첫 구절 “자연의 첫 초록은 황금과 같고”를 천연자원의 상품화에 비유로 재해석. |
배윤환: Deep Diver | 스페이스K 서울 (마곡) | ~11.09 | 상상력과 현실의 경계를 탐험하는 젊은 작가의 신작. 시각의 범위를 극대화시키는 파노라마적인 작업을 선보임. |
잉고 바음가르텐 개인전 <<SEEN SCENE>> | CDA | ~10/11 | ‘Seen’은 “목격된 것” 또는 “보이는 것”을 뜻하며, ‘Scene’은 “풍경” 혹은 “장면”을 의미한다. 두 단어가 결합되며, 관찰된 도시의 순간들이 어떻게 회화적 풍경으로 전환되는지에 대한 작가의 탐구를 함축. |
성능경: 쌩~ 휙! | 백아트 갤러리 | ~10.18 | 전통재료와 퍼포먼스를 결합한 독특한 작품 세계. 미술 초심자에게도 흥미로운 체험형 전시. |
4. 관악·금천·남서울 라인 — 조용히 사유하는 전시 코스
전시명 | 장소 | 기간 | 특징 |
전국광: 쌓는 친구, 허무는 친구 |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| ~2026.02.22 | 한국 조각의 거장 전국광의 대규모 회고전. 공간을 구성하는 조형미를 배우기 좋음. |
겹疊_응축과 파장 (2부) | 아트프로젝트 씨오 | 10.02~10.25 | 실험적 추상회화 중심의 그룹전. 신진 작가 에너지 가득. |

가을은 나무가 잎을 버리며 더 단단해지는 계절입니다. 우리들의 삶도 그렇습니다. 채움보다 비움이, 속도보다 여유가 우리를 더 깊게 만들어 줍니다. 10월, 예술 작품 앞에 잠시 멈춰 서서 사색의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.
728x90
반응형
LIST